다음 독스를 요약했습니다.
정렬, 패딩 외에도 "변수=값", e 표현식, % 표현식, 진법 변환도 제공하더라구요! 유용한 변환이 많았습니다.
다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이런것도 제공한다는걸 알고 있으면 필요할때 찾아서 쓸 수 있으니까 어떤걸 제공하는지 정도는 알아두면 좋은 것 같습니다ㅎㅎ
7. Input and Output
There are several ways to present the output of a program; data can be printed in a human-readable form, or written to a file for future use. This chapter will discuss some of the possibilities. Fa...
docs.python.org
각종 숫자 정렬, 채우기, 표현법
기능 요약
- 오른쪽 정렬
- 왼쪽 정렬
- 가운데 정렬
- 원하는 문자로 패딩
- 부호 위치
- 변수=값 형식 출력
- +부호도 표시하기
- 2진법
- 수->아스키문자
- 8진법
- 16진법 소문자
- 16진법 대문자
- e표현식
- E 대문자로
- 소숫점 반올림, 0 채우기
- nan, inf 대문자 출력
- % 변환
- 천의자리마다 , 찍기 (원하는 문자로 변경 가능)
코드 결과
# 숫자는 기본 오른쪽 정렬, 그 외 객체들은 왼쪽 정렬
a = 104
print(f'{a:_>10}') # '_______104'
print(f'{a:_<10}') # '104_______'
print(f'{a:_^10}') # '___104____'
print(f'{a:_=+10}') # '+______104' 부호가 맨 앞으로 갑니다.
print(f'{a:_>+10}') # '______+104' (비교)
print(f'{a=}') # 'a=104'
print(f'{a:+}') # '+104'
print(f'{a:b}') # '1101000' (2진법)
print(f'{a:c}') # 'h' (번호에 해당하는 아스키 문자)
print(f'{a:d}') # '104' (10진법)
print(f'{a:o}') # '150' (8진법)
a = 13
print(f'{a:x}') # 'd' (소문자 16진법)
print(f'{a:X}') # 'D' (대문자 16진법)
a = 3.14
print(f'{a:e}') # '3.140000e+00' (e표현, 과학적 표기법)
print(f'{a:E}') # '3.140000E+00' E 대문자
print(f'{a:.5f}') # '3.14000'
print(f'{a:F}') # nan, inf 를 대문자로 출력
print(f'{a:%}') # '314.000000%'
float 포맷팅 코드 결과
# 숫자 포맷팅 한번에 보기
a = 3.1415
print(a) # 3.1415
print(f'{a:.3f}') # 3.142
print(f'{a:.8f}') # 3.14150000
print(f'{a:08,.2f}') # 0,003.14
format(1234, "8.1f") --> ' 1234.0'
format(1234, "8,1f") --> ' 1234,0'
format(1234, "8.,1f") --> ' 1.234,0'
format(1234, "8 ,f") --> ' 1 234,0'
format(1234, "8d") --> ' 1234'
format(1234, "8,d") --> ' 1,234'
format(1234, "8_d") --> ' 1_234'
'Languages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etsizeof] 객체가 차지하는 byte 출력하기? (1) | 2023.07.12 |
---|---|
[conda] 가상환경 만들기, 삭제하기, list 보기, 주피터 노트북 연결 (0) | 2023.06.28 |
[heapq] 최소힙, 최대힙 (0) | 2023.06.27 |
join이 for 보다 빠르다 (제공되는 메서드를 최대한 사용하자) (0) | 2023.06.27 |
[setrecursionlimit] 재귀 깊이 증가시키기 (0) | 2023.06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