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HEN
"커밋 찍어놓기엔 좀 애매한디.."
깃을 사용해서 협업을 하다 보면 내가 메인으로 작업하던 브랜치에서 한창 작업중이다가도 다른 브랜치로 넘어가서 작업을 진행해야할때가 있습니다.
checkout 을 진행하려면 깃이 트래킹중인 파일들의 변경사항을 저장을 해줘야하는데요, 커밋 내역을 깔끔하게 관리하고 있다면 작성 도중이라 커밋 찍어놓기엔 좀 애매한 상황이 생깁니다. 이때 내역을 남기진 않으면서 잠시 임시저장 해놓고, 다른 브랜치로 갔다가 돌아와서 재시작 하기 위한 "임시저장" 기능이 stash 입니다.
"홀리 이 브랜치가 아닌데?"
잘못된 브랜치에서 작업을 진행한 경우 stash 로 임시저장하고, 다른 브랜치로 넘어가서 불러올수도 있습니다.
HOW
# 저장
git stash
# stash 내역 확인
git stash list
# stash 불러오기 (list 에서 삭제됨)
git stash pop
# stash 불러오기 (list 에 남김)
git stast apply
# 맨 위 stash 없애기
git stash drop
# 특정 stash 없애기
git stash drop stash@[stash이름]
# stash 내역 싹 날리기
git stash clear
시간여행할때도 좋습니다! 역시 임시저장은 어디서나 유용하네요
'DevOps > Git,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reset : 수정 사항 되돌리기 (0) | 2023.06.08 |
---|---|
[GitHub] 깃허브 프로필에 내 블로그 최신글 링크 걸기 (0) | 2023.06.02 |